본문 바로가기
Information

경도인지장애 진단기준과 검사방법, 정확히 알아보기

by 아내의 치매일기 2025. 7. 4.
반응형

 

경도인지장애 진단기준과 검사방법, 정확히 알아보기

경도인지장애 검진을 위해 환자의 뇌 스캔을 하고 있는 모습
경도인지장애 검진을 위해 환자의 뇌 스캔을 하고 있는 모습

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요?

경도인지장애(MCI)는 노화와는 다른, 뇌 기능의 미묘한 저하를 말합니다. 아직은 치매로 진단되기 이르지만, 기억력이나 사고 능력에서 변화가 관찰됩니다. 진단을 위해서는 정밀한 평가가 필요하며, 그 기준과 방법은 명확히 정리되어 있습니다.

경도인지장애 진단기준 4가지

의료진은 다음 기준을 충족할 때 MCI를 진단합니다:

  1. 기억력 또는 다른 인지기능의 객관적 저하
  2. 일상생활은 거의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
  3. 치매로 진단될 정도의 인지장애는 아님
  4. 연령, 교육 수준과 비교했을 때 명확한 기능 저하

이 기준을 통해 단순한 건망증과 병적 인지장애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대표적 검사방법 – MMSE와 K-MoCA

경도인지장애의 가장 보편적 검사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MMSE (간이정신상태검사): 인지기능을 간략히 측정. 시간, 장소, 기억, 계산 능력 평가.
  • K-MoCA (한국형 몬트리올 인지평가): MMSE보다 민감하며, 초기 인지 저하 감지에 효과적.

이 외에도 의료진은 언어 기억, 시공간 능력, 주의력 등을 테스트합니다.

정밀 진단: 영상검사와 혈액검사

증상이 의심될 경우, 보다 정밀한 검사를 병행합니다:

  • MRI/CT: 뇌 위축 여부, 혈관 이상 확인
  • 혈액검사: 갑상선, 비타민 B12, 염증 수치 등 관련 요인 확인
  • 유전자 검사: ApoE4 등 위험 유전자 확인 (필요시)

이 모든 검사는 종합적으로 판단되어야 하며, 단일 수치만으로 진단되지는 않습니다.

 

검사를 받기 전 꼭 알아야 할 점

  • 대부분의 검사는 간단한 문답과 종이·펜으로 진행됩니다.
  • MMSE와 K-MoCA는 15~30분 정도 소요됩니다.
  • 가족 동반이 권장되며, 기존 병력과 복용 약 정보를 가져가야 합니다.

정확한 진단을 위해, 전문의와의 상담을 반드시 동반하세요.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• 경도인지장애 검사는 어디서 받나요?
    신경과,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노인병 클리닉에서 가능합니다.
  • 건강검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나요?
    기본 MMSE는 가능하지만, MCI 진단은 보다 정밀한 상담이 필요합니다.
🏁 요약
경도인지장애는 조기 발견이 핵심입니다. 단순 건망증이 아니라면 MMSE, K-MoCA와 영상·혈액 검사를 통해 종합적인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. 나와 가족의 건강을 위해 증상이 의심된다면 오늘 바로 진료 일정을 잡아보세요.

👉 경도인지장애 초기증상 총정리
👉 경도인지장애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

 

 

진단은 두려움보다 준비가 우선입니다.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세요.

 

반응형